Torrents of the Exterior

Preface
When the bony branch sprouts new buds, that tender light of the bud turns people’s head. How green is the chlorophyllous leaf; the green with all kinds of mysterious colors. The green shade flickers through the shadows of the folded leaves. Nature is everywhere. Even in this crowded artificial fortress as well. Although the city seems like it has exceed the variability of the nature or it controls the nature totally. At least the scenery Sunghee Pae captures is from the programmed world. She seems to understand the figure of the rootless tree in the apartment advertisement as the architectural unit rather than nature. Silver magnolia, Palm tree and Cherry tree, the nameless trees are sorted by functions and sizes, and they will be duplicated, be installed and be controlled.  The buildings and the trees are equally put together and become the gigantic structure that designs kitschy life. And then one moment, Pae withdraws the aerial viewpoint and goes under the tree. However, she never stays in the interior of the tree’s shadow— where the lights’ and the shadows’ temperature transfers to the skin. Rather she is fascinated with the grotesque skylines that the barren branches and wires entwines and creates. Only the monochromatic patterns and the unreachably isolated exterior will endlessly torrent.
---------------------------------------------------------------------------------------
 
Sunghee Pae has been interested in the structure of the city and worked as if she was building a model or designing an architectural blue print. She got the idea from looking at the city that she daily employs in. However, where she actually casted her eyes were on the apartment advertisement that shows some virtual city images when she started her work. These images are insufficient to grasp the city—an aggregation of the inorganic matters such as living spaces and the infra facilities, and the organic matters such as animals and plants. However, it is a sufficient enough material to imagine the structure of an apartment, the main dwelling space of the urbanites. It is not difficult to think of the city discourse through apartments as it is the representational place where the modern hierarchical desire is projected. Pae focuses on the roadside trees along with the building as the main components of the apartment compound in the advertisement flyers. After, the apartments and the roadside trees — which represent the artificial and the nature—became a major subject of her work. Apartments abstracted as pure white cubes and road trees unified into one styles and sizes. Pae shows her work of searching individuality in the exhibition Plant Factory, by combining these two “units” that she discovered, outstretching from her previous attempts to create an abstract space.
 
Close up, or moving forward. There is a visible change in recent work of Pae; one of the easiest expressions to describe her work will be ‘becoming closer of the “physical distance”’. Her previous works mainly used the aerial viewpoint, however for the past 3years of her work introduced in this exhibition it seems like she close-up the object.  Urban Tree (2014-2015) has looking up point of view of a road tree. Beyond the shadows of bony tree branches and the electric wires intertwined, the barely contour of the building is visible. Pae also worked with the road tree before by capturing the subtle typological difference of it. At that time the tree was dealt as an independent unit. However this time the form of the branches and wires entwined as a single unit and cut by square frames is highlighted. The trees shown in the Urban Tree a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the apartment advertisements. The fact that the artificial-utopian city images don’t have any electric wires infers that the subject of this work is not an abstract reproduction but an organic component of the city. Pae got out of the workroom and went out on the streets. To the artist who has been producing tree images based on the advertisement flyers, the road trees looked freshly new. The road trees entwined with the electric wires are not the trees of organic being but already the city’s artificial product itself.
 
However, in Urban Tree, did the artist really come close with the subject? Can it be considered as closer than before? Can it be a close-up from the aerial viewpoint? One certain thing is that the apartment flyers cannot be magnified, and even if it is magnified it would be only pixel images. This work is not a close-up of her previous work. Even so, there is a common sharing attitude between the two. Pae took a picture of a road tree viewed from the street, drew it monochromatically in a translucent paper and reversed its front and back. When the surface with the ink residue is covered, sleek and even body shows up. Pae only leaves the contour and the pattern of the figure. It is as if the object becomes anonymous, the one who observes it also becomes anonymous. Pae withdrew the aerial viewpoint and crawled under the tree. However, she never stays in the “interior” of the tree’s shadow— where the lights’ and the shadows’ temperature transfers to the skin. Rather she is fascinated with the patterns made by the barren branches and wires. Pae denies the own individual’s interior through the black screen which its painterly nature is eliminated. Also instead of looking into the chaotic desire, she blatantly suggests the concise projectile of the desire. Only the monochromatic patterns and the unreachably isolated “exterior” will endlessly torrent. As a result, there might not be a drastic physical distance of the time when she dealt with the apartment advertisement and the time she stood under a road tree.       
 
In Forest (2016) the transparent square cases are filled with flat modeled road tree images and are neatly piled up to distinctively show Pae’s point of view of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The exhibition’s title Plant Factory is reminded by the look of standardized trees systematically concentrated. Also the look can be understood as Pae’s new way of combining her two important elements: the apartment and the road tree. Forest captures the moment when the interior or the inside is revealed for the first time in Pae’s work, when her work seemed to focus on the exterior of individual—individual-nonexistence or absence of internal— all along. The space that is filled with the single standard boxes associates with the division of the apartment space. Finally the interior has been exposed, but the space is occupied by the road tree, not the human being. As the city spaces are only composed of buildings and road trees and also as people are completely trapped by that structure, the interior alluded by the exterior is recognized as empty.        
 
Pae stays in the exhibition hall and provides the extra unit of the Forest. The hand crafted multiplication of the units built by shabby materials not fit for gigantic city architectures implies temporality of the city. City’s anonymous architectures are built and demolished fast. Jungle (2015) is a drawing animation that shows the sky lines of the apartments that change slowly. The city sight that moves like waves or foams lumping and scattering shows the already long existed speculation of the modernity—which is the perpetuity in the temporality. Interesting fact is that Pae intentionally erases the “performativity” of the temporality that inevitably marks a trail in her work. She does it by covering the trails of hand movement, making the viewer’s body invisible and freeing the working process from the expertise. Indeed this kind of anonymity and indifference paradoxically comes from her long and prudent deliberation.

Kim Jung Hyun (Art critic & Independent curator)
쏟아지는 외부 

서문
앙상한 나뭇가지에 새싹이 돋기 시작하면 그 여린 빛이 고개를 홀린다. 엽록소를 머금은 잎은 얼마나 푸른지, 온갖 오묘한 빛이 감도는 초록. 녹음은 서로에게 포개진 성숙한 잎사귀 사이의 그림자에서도 어른거린다. 자연은 도처에 있다. 물론 이 번잡한 인공의 성채에도. 다만 도시는 자연의 변화무쌍함을 이미 능가했거나 빈틈없이 제어하는 것처럼 보인다. 적어도 배성희가 포착한 풍경은 프로그래밍된 세계에서 비롯된다. 그는 아파트 광고에 등장하는 뿌리 없는 나무의 형상이 자연이라기보다 도시의 건축적 유닛이라고 이해하는 듯하다. 후박나무, 종려나무, 벚나무니 하는 이름을 잃은 나무는 품종과 기능과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복제되고 설치되며 통제된다. 이렇게 건물과 나무는 공평하게 어우러지며 키치적 삶을 디자인하는 거대한 구조를 이룬다. 그러다 어느 순간, 배성희는 조감도 시점을 거두고 나무 아래로 들어간다. 그러나 결코 빛과 그림자의 온도가 피부 속으로 전해지는 나무 그림자의 내부에 머물지 않는다. 그보다 앙상한 가지와 전선줄, 그 너머의 건물이 얽히며 빚어내는 기괴한 스카이라인에 사로잡힌다. 무채색의 무늬만이, 닿을 수 없이 고립된 바깥만이 끝없이 쏟아진다.
---------------------------------------------------------------------------------------


배성희는 오랫동안 도시의 구조에 관심을 갖고 마치 건축 도면을 그리거나 모형을 제작하는 것과 같은 태도로 작업해왔다. 일상적으로 몸 담고 있는 도시를 바라보던 중에 아이디어를 얻었지만 본격적으로 작업에 임하며 시선을 던진 곳은 가상의 도시 풍경을 보여주는 아파트 광고 전단이었다. 이런 이미지는 주거 공간 및 기반 시설이라는 무기물과 거주민과 동식물이라는 유기물의 집합체인 도시를 포착하기에는 분명 한없이 부족하다. 그러나 도시인의 주요 주거 공간인 아파트 단지의 구조를 그려내기에는 충분하며, 현대의 계급적 욕망이 투사되는 대표적인 장소로서의 아파트를 통해 도시 담론을 떠올리기란 어렵지 않다. 배성희는 광고 전단지에서 아파트 단지라는 공간을 이루는 주요 요소로 건축물에 더해 가로수에 주목했다. 이후 아파트와 가로수는 도시의 인공과 자연을 대표하는 사물로서 작업의 주요 소재가 된다. 순백의 입방체로 축약된 아파트와 형태와 크기가 획일적인 가로수. 이번 전시《플랜트 팩토리》에서 배성희는 그가 발견했던 이 두 가지 ‘유닛’의 조합을 통해 추상적 공간을 구축하려던 이전까지의 시도를 넘어 그 개별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클로즈업. 또는 다가서기. 배성희의 작업에서 예전과 눈에 띄게 달라진 게 있다. 가장 손쉬운 설명은 대상과의 ‘물리적 거리’가 가까워졌다는 말일 테다. 이전까지 공개된 작업에서 주로 조감도 시점이 쓰였다면 이번 전시에 소개된 지난 3년간의 작업에서 작가는 대상을 클로즈업한 것처럼 보인다. <어반 트리>(2014-2015)에는 가로수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시점이 담겨있다. 앙상한 가지와 전선이 얽히며 드리운 그림자 너머로 윤곽만 겨우 남은 건물이 보인다. 배성희는 이전에도 가로수의 미묘하게 다른 형태를 유형학적으로 포착하는 작업을 했는데, 당시에 나무가 독립된 유닛으로서 다루어졌다면 이번에는 가지가 전선과 엉켜 일체가 된 모양새와 사각 프레임에 가지나 전선이 과감하게 잘려나간 형상이 부각된다. <어반 트리>에 묘사된 나무는 아파트 광고에 등장하는 것과 다르다. 인공적-이상적 도시 이미지에 등장할 리 없는 전선이 등장한다는 데서 더 이상 대상이 추상적인 재현물이 아니라 유기적인 실제 도시의 구성물이라는 사실을 유추해볼 수 있다. 배성희는 작업실을 벗어나 다시 거리로 나섰다. 광고 전단을 참고하여 나무 이미지를 제작해온 작가에게 가로수는 새삼스러울 만큼 새로워보였다. 전선이 엉킨 가로수는 자연으로서의 나무가 아니라 이미 도시의 인공물 그 자체였던 것이다. 
 
그런데 <어반 트리>에서 작가는 대상에 물리적으로 다가선 것일까? 예전보다 가까워졌다고 할 수 있을까? 조감도 시점으로부터 클로즈업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분명한 건 아파트 광고 전단은 더 이상 확대할 수 없으며 확대해봤자 드러나는 건 픽셀 이미지일 뿐이라는 사실이다. 이번 작업은 이전 작업으로부터 클로즈업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통되는 태도가 엿보인다. 배성희는 길거리에서 바라본 가로수의 사진을 찍어 투명한 종이에 무채색으로 옮겨 그린 후 앞뒷면을 뒤집었다. 잉크 얼룩이 남은 표면을 가리면 매끈하고 균질한 몸체가 나온다. 배성희는 오직 형태의 윤곽과 무늬만을 남긴다. 대상이 익명화된다는 것은 그것을 보는 이가 익명화된다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배성희는 조감도 시점을 거두고 나무 아래로 들어갔지만 결코 빛과 그림자의 온도가 피부 속으로 전해지는 나무 그림자의 ‘내부’에 머물지 않는다. 그보다 앙상한 가지와 전선, 그 너머의 건물이 얽히며 빚어내는 기괴한 무늬에 사로잡힌다. 배성희는 회화적 물성이 배제된 흑백 화면을 통해 개인의 고유한 내면을 부정한다. 그리고 혼란스러운 욕망을 들여다보는 대신 노골적으로 간결한 욕망의 투사물을 제시한다. 무채색의 무늬만이, 닿을 수 없이 고립된 ‘바깥’만이 끝없이 쏟아진다. 이로써 결과적으로 아파트 광고 이미지를 대하던 때와 거리의 가로수 아래 설 때의 물리적 거리감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게 되는 것 아닐까.  
 
투명한 사각 케이스 안에 납작한 모형 가로수 이미지를 채워 차곡차곡 쌓아올린 <포레스트>(2016)는 외부와 내부에 관한 배성희의 시선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규격화된 나무가 체계적으로 밀집해있는 모습에서 전시 제목이기도 한 ‘플랜트 팩토리’를 떠올릴 수 있는가 하면 배성희의 두 가지 주요 소재인 아파트와 가로수가 새로운 방식으로 결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포레스트>는 도시의 구조이자 개인의 외부(또는 개인-없음이나 내면의 부재)에 집중하는 듯이 보였던 배성희의 작업에서 처음으로 내부 또는 실내가 드러나는 순간을 포착한다. 단일 규격의 상자가 빼곡히 쌓인 공간은 아파트의 공간 구획을 연상시킨다. 모처럼 실내가 드러났으나 공간을 점유하는 건 인간이 아니라 다시 가로수이다. 이렇게 도시 공간이란 오직 건물과 가로수로만 이루어진 것처럼, 또는 인간이란 그러한 구조 안에 완벽하게 포획된 것처럼, 외부가 암시하는 내부란 아무 것도 없는 것처럼 인식된다. 

배성희는 전시장에 상주하며 <포레스트>의 유닛을 추가로 공급한다. 거대한 도시 건축물을 연상하기에는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조잡한 재료를 사용한 수공예적 증식에서 암시되는 것은 도시의 시간성이다. 도시의 몰개성한 건축물은 쉽고 빠르게 세워졌다 허물어진다. <정글>(2015)은 천천히 변화하는 아파트의 스카이라인을 보여주는 드로잉 애니메이션이다. 물결이나 거품이 뭉쳤다 흩어지듯 움직이는 도시의 풍경은 일시성 속의 영원함이라는 현대성에 관한 이미 오래된 사유를 보여준다. 흥미로운 점은 배성희가 작업에 필연적으로 표시되고 마는 시간성 속의 ‘수행성’을 애써 지워낸다는 사실이다. 손의 움직임과 흔적을 가리고, 관찰자의 신체를 익명화하고, 제작 과정을 탈기술화함(누가 하든 상관없음)으로써 말이다. 정작 그러한 익명성과 무관심성은 역설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신중하게 숙고해서 나온다.       
            
김정현 (미술비평가 & 독립큐레이터)